18일 가상화폐 금시세

과거에는 재테크 수단으로 정기 예금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지금은 금가격이 고공행진을 하면서, 낮은 금리에 실망한 이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다.

 

금은 현재, g당 금가격이 19만원 대를 유지하고 있으며, 한 때 g당 금가격은 22만원을 기록하기도 하였다.

이는 불과 3년전과 비교하더라도 2배이상 상승했을 정도로 높은 금시세를 보이고 있다.

 

그렇다면, 오늘의 금시세는?

한국거래소의 오늘의 금시세는 g당 192,030원, 금한돈 순금시세는 720,112원이다.

 

한국표준금거래소 같은 경우, 순금 1돈(24K)의 오늘의 금시세는 내가 팔때 728,000원, 18K 금시세는 535,100원, 14k 금시세는 414,900원, 백금시세는 245,000원, 순은시세 7,710원, 순금 1돈 내가 살때는 832,000원이다.

 

 

88.png

 

 

가상화폐 시세는?

 

가상화폐 대장격인 비트코인과 알트코인 리플, 도지코인 그리고 오피셜 트럼프의 시세는 다음과 같다.

 

11월 18일, 오전 11시 44분, 비트코인(바이낸스) 1BTC 91,353.47 달러

리플(바이낸스) 1XRP 2.15 달러

11월 17일, 오후 12시 56분, 비트코인(바이낸스) 1BTC 95,456.29 달러 보다 4102.82 하락했으며, 리플 시세는 0.11 하락했다.

 

트럼프 대통령 밈 가상화폐로 잘 알려진 오피셜 트럼프는 1TRUMP 6.93 달러를 도지코인 시세는 1DOGE 0.1534 달러를 기록하고 있다.

 

89.jpg

[가상화폐]

 

암호화폐 시장에서 밈 코인은 이제 단순한 유행을 넘어선 독립적인 생태계를 구축했다.

 

도지코인으로 시작된 이 문화적 흐름은 셰바, 페페 등으로 확장되며 투자자들 사이에서 중요한 자산으로 자리 잡았다.

 

밈 코인은 인터넷 문화와 커뮤니티 에너지, 그리고 바이럴 마케팅의 힘으로 성장하지만, 전통적인 가치 평가 방식으로는 그 가치를 설명하기 어렵다. 이러한 모호함은 밈 코인의 매력인 동시에 위험 요소로 작용한다.

 

밈 코인의 장기 보유는 전략적 투자보다는 심리적 자산으로 분류된다. 대부분의 밈 코인은 명확한 사업 모델이나 지속 가능한 수익 구조가 없어, 커뮤니티 열기와 밈의 수명이 가격을 좌우한다.

 

따라서 장기 보유의 근거가 될 만한 본질적 가치는 빈약하다. 또한, 밈 코인은 급등과 급락이 반복되며, 장기 보유 시 수익률을 예측하기 어렵다. 이는 펀더멘털 기반 자산처럼 안정화될 가능성이 적어, 시간이 해결해준다는 전략이 통하기 힘들다.

 

밈 코인의 성공은 커뮤니티의 지속성에 달려 있다. 도지코인이 대표적인 사례지만, 대부분의 신생 밈 코인은 관심이 식으면 유동성과 커뮤니티가 사라지며 사망하게 된다.

 

이는 장기 보유 전략을 어렵게 만드는 요소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투자자들은 밈 코인의 장기 보유를 고민한다. 극단적인 상승 사례와 낮은 시가총액에서의 상향 가능성, 커뮤니티 중심의 서사가 지속될 때의 엄청난 모멘텀, 그리고 '혹시'라는 가능성에 저비용으로 참여할 수 있는 점 때문이다.

 

그러나 이러한 기대는 확률적 희망일 뿐, 합리적인 투자 근거는 되지 못한다.

밈 코인은 장기 보유 대상이 아닌 전략적 단기 포지션으로 접근하는 것이 적합하다.

 

커뮤니티의 생명주기에 운명을 맡기기보다는 소액·고위험 포트폴리오의 일부로 편입하거나 커뮤니티 성장 초기의 단기 모멘텀에 초점을 맞추는 것이 더 현명하다.

 

특정 밈이 문화적 상징으로 자리 잡았는지 지속적으로 관찰하고, 빠른 상승 시 수익 일부를 실현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

장기 보유 자체가 나쁘다는 것은 아니지만, 감정적 기대에 의한 선택이라면 결과는 우연에 맡겨질 가능성이 높다.

 

견해이므로 참고만 하시기 바랍니다.

 

테크노아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