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폭락에 곳곳 ‘곡소리’…DAT기업 휘청·강제청산 급증

가상자산 시가총액 1위인 비트코인이 최근 한 달간 이어진 하락세 끝에 올해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이에 따라 비트코인 비축기업(DAT 기업)의 주가가 급락하고 개인 투자자의 경우 강제청산이 발생하는 등 ‘코인발(發) 곡소리’가 나오고 있다.

가상자산 시황플랫폼 코인게코에 따르면 17일 오후 2시25분 기준 비트코인은 개당 9만4905달러(약 1억3841만원) 선에서 거래되고 있다. 24시간 전과 비교해 약 1.0% 하락했다. 이는 지난해 말 수준으로 지난달 6일 기록한 사상 최고가 12만6210달러(약 1억8400만원)에 비해 약 25% 낮은 수치다.

 

11.jpg

17일 서울 강남구 빗썸라운지에 설치된 전광판에 비트코인 시세가 나오고 있다. 뉴시스

 

블록체인 온체인 분석기업 넨슨의 시니어 리서치 애널리스트 제이크 케니스는 “이번 매도세는 장기보유자의 차익실현, 기관 자금 유출, 거시 불확실성, 레버리지 롱 포지션(가격 상승에 배로 투자) 청산 등이 복합적으로 맞물린 결과”라며 “긴 조정 구간을 보낸 뒤 시장이 일시적으로 하락 방향을 택한 것이 분명하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장기 비트코인 보유자들의 현금화도 진행 중이다. 데이터 제공업체 크립토퀀트에 따르면 장기 비트코인 보유자들은 지난 한 달 동안 약 81만5000개 비트코인을 매도했다. 2024년 1월 이후 최대 규모다.

비트코인 가격 급락에 DAT 기업들도 직격탄을 맞았다. 스트래티지가 대표적으로 이 회사 주가는 14일(현지시간) 기준 전 거래일 대비 4.22% 내린 199.75달러에 장을 마감했다. 이는 지난해 10월23일(213.95달러) 이후 약 13개월 만의 최저가다.

신용매수를 한 개인 투자자의 강제청산 규모도 커지고 있다. 가상자산 데이터 업체 코인글래스가 집계한 최근 24시간 비트코인 파생상품 청산 규모는 2억4345만달러다. 그중 1억3665만달러가 매수 포지션에서 발생해 상승을 예상한 투자자들이 가장 큰 충격을 받았다. 특히 최근 활황 중인 미국과 한국 증시에 자금이 몰리며 코인 시장의 거래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레버리지 포지션(수익·손실을 배로 하는 투자)이 무너지면서 시장이 한 번에 기울었다는 평가가 나온다.

 

세계일보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