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남친 만나러 간다더니…” 캄보디아서 또 사람이 사라졌다

36.jpg

캄보디아에서 실종된 인플루언서. 더우인 캡처

한 인플루언서가 남자친구를 만나기 위해 캄보디아로 향한 뒤 연락이 끊기면서 실종 의혹이 제기됐다.

‘오렌지언니’라는 이름의 중국 인플루언서는 현지에서 식당을 운영한다는 남자친구를 만나기 위해 이달 초 캄보디아 시아누크빌로 출국했다.

그는 5일부터 11일까지 소셜미디어(SNS)에 “현재 캄보디아에 있고, 13일에 항공편을 예약했다”는 댓글을 남겼지만, 12일부터 연락이 두절됐다. 휴대전화도 꺼진 상태이며, 입국 기록도 확인되지 않았다. 마지막 접속 IP는 캄보디아로 나타났다.

가족은 수사 당국에 실종 신고를 하고 외국 당국에도 도움을 요청했다. 지인들 역시 SNS에서 실종자 찾기 운동을 벌이고 있지만 아직 진전이 없는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남자친구가 식당을 운영한다고 주장했으나, 해당 지역이 온라인 사기 조직의 거점지역이라는 점에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 남자친구의 휴대전화 역시 꺼져 있어 불안감이 커지고 있다.

‘범죄 도시’ 포이펫…화장 직전 발견된 26세 여성

캄보디아 북서부 국경 도시 포이펫에서는 태국 여성들이 잇따라 숨지는 사건이 발생해 국제적 우려가 커지고 있다. 포이펫은 온라인 사기 조직과 인신매매의 거점으로 악명이 높아 ‘범죄 도시’로도 불린다.

17일 태국 일간지 더 네이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26세 태국 여성 수다는 포이펫의 온라인 사기 콜센터 조직에 강제로 노동력을 착취당하던 중 작업 할당량을 채우지 못했다는 이유로 가혹 행위를 당해 사망한 것으로 드러났다.

수다는 최근 가족과의 연락이 끊기며 실종 신고가 접수됐고 지난 13일 인권·인신매매 피해자 지원 단체인 임마누엘재단이 프놈펜의 한 사찰에서 그녀의 시신을 발견했다. 이미 화장 준비가 끝난 상태였으며, 재단의 긴급 개입으로 화장은 중단됐다. 재단 측은 “몇 분만 늦었어도 시신은 흔적 없이 사라질 뻔했다”고 밝혔다.

한국인도 예외 아냐…5년간 760여건 피해 신고

동남아시아에서 발생하는 온라인 스캠 범죄와 감금 피해는 한국인도 비껴가지 않았다.

최근 5년간 동남아 주요 국가에서 온라인 스캠 범죄에 연루됐거나 감금되는 등 피해를 신고한 한국인이 최소 760여명이 넘는 것으로 파악됐다. 2023년 라오스와 미얀마 등에서 관련 신고가 많았다가 지난해부터 캄보디아에서 폭증했고, 최근에는 한 번도 이력이 없던 국가에서도 피해 신고가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

 

37.jpg

캄보디아에서 숨진 채 발견된 한국인 여성 인터넷방송 진행자(BJ) 아영(본명 변아영·33)의 마지막 모습이 담긴 폐쇄회로(CC)TV(오른쪽)가 공개됐다. BJ 아영 인스타그램·TV조선 보도화면 캡처

캄보디아 내 한국인 대상 범죄가 급증하면서 2년 전 의문의 죽음을 맞이한 BJ의 사연이 다시금 주목받고 있다. 30만명의 팔로워를 보유했던 BJ 아영(본명 변아영)은 2023년 6월 캄보디아에서 시신으로 발견됐지만, 사건은 여전히 미궁에 빠져있다.

아프리카TV와 유튜브에서 10년간 활동했던 아영은 숨진 해 3월 “BJ 활동 청산했다. 당분간 일반인으로 살겠다”는 글을 SNS에 올리고 몇 달 뒤 캄보디아로 향했다.

출입국 기록에 따르면 아영은 BJ로 활발히 활동하던 2021년부터 여러 차례 캄보디아를 왕래했지만, 방문 이유에 대해서는 지인들도 정확히 파악하지 못했다. 한 지인은 인터뷰를 통해 “뭐가 있을 테니 갔겠지만 ‘왜 굳이 캄보디아에 갔을까?’ 이런 물음표가 뜨는 게 사실”이라고 의아해했다.

2023년 6월 2일 지인과 함께 캄보디아에 입국한 아영은 나흘 뒤인 6일, 프놈펜 인근 칸달주의 한 마을에서 붉은 천에 싸인 채 웅덩이 속에서 숨진 상태로 발견됐다. 수사 과정에서 성폭행 의혹도 제기됐다. 아영이 발견 당시 속옷 상의를 입지 않았고, 하의는 거꾸로 입혀져 있었기 때문이다.

이를 규명하기 위해선 부검이 필요했지만 부검이 사망 40여일 만에 이뤄지면서 유의미한 결과는 얻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결국 아영의 정확한 사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은 상태다.

 

 

서울신문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