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액 55% 급감 속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 XRP 상승…거래심리 혼조세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0월 19일 오전 7시 기준 국내 주요 거래소(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의 최근 24시간 거래대금은 총 3조 3,302억원으로 집계됐다. 전일 대비 4조 1,929억원이 줄며 무려 55.7% 급감한 수치다. 시장 유동성이 급격히 위축된 가운데 주요 코인들은 소폭 상승세를 유지하며 일부 매수세가 저점을 방어하는 흐름을 보였다.

 

10.jpg

[그래프] 국내 코인거래소 하루거래액 추이


거래소별 비중을 보면 업비트가 2조 2,967억원(69.0%)으로 시장 주도권을 유지했고, 빗썸 9,433억원(28.3%), 코인원 741억원(2.2%), 코빗 160억원 순으로 뒤를 이었다. 거래량 급감은 전일 대비 투자심리 둔화와 일부 단기 차익 실현 매물이 겹친 결과로 해석된다. 그러나 비트코인·이더리움·리플 XRP·도지코인·파이코인 등 주요 코인은 모두 상승세를 기록하며 하락 전환을 피했다.

업비트에서 거래액 상위 코인은 제로베이스(7,608억원, -16.80%), 리플 XRP(2,521억원, +2.38%), 테더(1,677억원, -0.78%), 비트코인(1,651억원, +0.03%), 이더리움(1,309억원, +0.90%), 솔라나(841억원, +2.07%), 라그랑주(673억원, -1.49%), 도지코인(630억원, +1.40%), 바운드리스(468억원, -8.99%), 플라즈마(414억원, +1.44%) 순이었다.

 

11.jpg

[표] 업비트·빗썸 거래규모 상위 종목


빗썸에서는 테더가 거래 1위를 기록했으며, 리플 XRP(+2.30%), 비트코인(+0.03%), 솔라나(+2.07%), 이더리움(+0.87%)이 뒤를 이었다. 전반적으로 스테이블코인 중심의 자금 이동이 이어지면서도 일부 메이저 코인으로 매수세가 회귀하는 흐름이 관찰됐다. 이는 최근 미국 증시의 완만한 회복과 달러 약세 기조가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로 분석된다.

시가총액 상위 코인 순위는 비트코인(3,039조 9,558억원), 이더리움(668조 2,937억원), 테더(258조 3,908억원), 비앤비(216조 6,403억원), 리플 XRP(201조 7,333억원), 솔라나(145조 8,970억원), 유에스디코인(107조 9,883억원), 트론(42조 1,641억원), 도지코인(40조 8,390억원), 에이다(32조 3,740억원) 순으로 유지됐다.

 

12.jpg

[그래프] 비트코인-이더리움 시세 추이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 시세는 1억 6,368만원으로 전일 대비 0.03% 상승했다. 최근 50일간 최저가인 8월 31일 1,507만원 대비 8.6% 상승하며 안정적인 박스권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이더리움은 594만원으로 0.87% 올랐고, 지난 50일간 최고가(667만원) 대비 10% 가까이 낮은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고 있다. 단기적으로는 글로벌 기술주 반등과 함께 위험자산 선호 심리가 회복되는 가운데, 일부 기관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재조정 흐름이 유입된 것으로 보인다.

 

13.jpg

[그래프] 도지코인-리플 XRP 시세 추이


도지코인은 290원으로 전일 대비 1.75% 상승하며 하루 만에 저점(285원)에서 반등했다. 리플 XRP는 3,609원으로 2.30% 오르며 기관 매수세가 일부 유입됐다. 파이코인은 290.9원으로 0.65% 상승했다. 전반적으로 주요 코인들이 미세한 상승폭을 유지했으나, 거래대금 급감이 반등세를 제한하고 있다.

코인힐스 집계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비트코인 거래의 법정화폐 비중은 미국 달러가 92.6%, 일본 엔 2.8%, 한국 원 2.79%, 유로 0.77% 순이었다. 원화 비중이 여전히 3%에 미치지 못하면서 국내 투자심리는 신중 국면에 머물러 있다.
업비트 코인동향에 따르면 최근 1주간 상승률이 높은 종목은 바운드리스(+44.36%), 베이직어텐션토큰(+42.92%), 라그랑주(+33.41%), 에테나(+25.13%), 펀디엑스(+17.65%) 등으로 나타났다. 단기 급등 종목 중심의 회전매매가 이어지고 있어 단기 수익을 노린 유동성 집중 현상이 두드러지고 있다.

한편 미국 뉴욕증시가 인플레이션 둔화 기대감과 연준의 금리 동결 전망 속에 상승세를 보이면서, 위험자산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기술주 중심 나스닥의 강세가 암호화폐 시장에 낙수효과를 준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 장기채 금리 불안이 재부상할 경우, 코인시장 변동성이 확대될 가능성도 높다.

가상자산 시장은 본질적으로 내재가치가 부재하며 투자심리에 크게 의존하는 특성이 있다. 단기 반등 국면에서도 심리 요인에 따른 급락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투자자는 환율, 금리, 글로벌 자금 흐름을 주의 깊게 살피며 포트폴리오 리스크 관리에 나서야 한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기사 내용은 외신 혹은 증권사 견해를 종합한 것으로,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된 내용은 아닙니다. 이 기사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해 투자 결정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지는 독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톱스타뉴스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