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년간 묶인 비트코인이 5배 불었다"…고파이 피해자 '1000억대' 돌려받나

FIU, 고팍스 임원 변경 신고 수리…'구원투수' 바이낸스, 인수 절차 마무리
수리 지연 동안 비트코인 5배 뛰어…자금 동결에도 상환액은 증가

12.jpg

 

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국내 5위 거래소 고팍스를 품게 되면서 약 3년 동안 미뤄진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 '고파이' 피해 자금 상환도 본격화할 전망이다. 다만 고파이 예치 자산 대부분을 차지한 비트코인 가격이 고파이 사태 당시보다 5배나 뛰어, 보상액을 둘러싼 셈법이 복잡해질 전망이다.

 

17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금융정보분석원(FIU)은 15일 고팍스의 임원 변경 신고를 수리했다. 지난 2023년 2월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고팍스 지분을 인수한 지 2년 8개월 만에 인수 절차가 마무리된 셈이다.

이번 수리로 바이낸스가 조건부로 약속한 '고파이' 피해 대금 상환 절차도 본격화될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고파이는 고팍스가 운영하던 가상자산 예치 서비스로, 예치한 자산에 이자를 지급하는 상품이다.

고파이 사태는 지난 2022년 11월 글로벌 가상자산 거래소 FTX의 파산 여파로 발생했다. 고팍스는 당시 가상자산 대출업체 제네시스 글로벌 캐피털을 통해 고파이를 운영해 왔는데, 제네시스가 FTX에 자금이 묶이며 채권 상환이 중단됐다. 이에 따라 고파이에 예치된 자금도 함께 묶였고, 고팍스는 예치 고객들에게 자금을 돌려주지 못하는 상황에 부닥쳤다.

 

이후 고팍스는 유동성 위기를 겪었다. 그러던 중 바이낸스가 고파이 피해금 상환을 조건으로 지분 인수에 나서면서 구원투수로 등장했다. 당시 바이낸스는 피해액의 25%를 우선 상환하고, 나머지는 금융당국의 임원 변경 신고 수리 이후 지급한다는 방침이었다.

 

13.jpg

ⓒ News1 윤주희 디자이너

그러나 신고 수리는 자오창펑 전 바이낸스 최고경영자(CEO)의 사업 리스크 등으로 지연되며 2년 이상 표류했다. 그사이 자금을 상환받지 못한 피해자들의 불만은 커졌고, 채권단을 꾸려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시위를 벌이며 임원 변경 신고 수리를 촉구하기도 했다.

그러다 전날 우여곡절 끝에 변경 신고가 수리되면서 고팍스와 피해자들에게도 숨통이 트일 것이란 기대가 커지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고파이 사태는 국내 거래소가 글로벌 사업자와 얽힌 대규모 유동성 위기"라며 "3년 가까이 기다린 피해자 입장에선 이제야 진전이 생긴 셈"이라고 말했다.

 

다른 업계 관계자는 "이번 조치로 고팍스가 다시 신뢰를 회복할 계기가 마련됐다"며 "바이낸스의 자금력과 글로벌 네트워크가 더해지면 상환뿐만 아니라 거래소 운영 안정성도 크게 개선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고파이 피해자들이 보상받을 금액에 업계의 관심이 쏠리고 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다트)에 따르면 고팍스의 가상자산 미지급금은 지난 2023년 말 약 637억 원에서 1년 만에 약 1479억 원으로 증가했다. 비트코인 시세가 급등하며 상환 금액이 불어난 영향이다.

실제로 고파이 사태가 발생한 지난 2022년 11월 비트코인은 약 2만 달러에 거래됐으나, 지난해 말 10만 달러 선을 돌파했다. 비트코인 가치가 2년 만에 5배 상승하며 상환 규모 역시 비례해 커진 셈이다. 현재 비트코인은 약 11만 1000달러 안팎에서 거래되고 있어, 상환 금액도 지난해(1475억 원)를 살짝 웃도는 수준일 것으로 추산된다.

고파이 채권단 관계자는 "비트코인 시세가 오르며 환산 금액이 커졌다"며 "고파이 예치 자산 대부분이 비트코인으로 구성돼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결과적으로 투자자들은 자금이 묶이면서 예치 이자금 등의 손실을 보았지만, 비트코인 시세 급등으로 상환액이 오히려 불어난 아이러니한 상황이 연출된 셈이다.

상환액이 증가하자 고팍스는 지난해 10월 투자자 간담회를 열고 "지난 2023년 1월 20일 당시 시세를 기준으로 현금 상환하겠다"는 입장을 전달했지만, 가상자산 그대로 돌려받길 원하는 채권단의 반발에 부딪히기도 했다.

만약 바이낸스가 채권단의 요구대로 가상자산 형태로 상환에 나선다면 피해 발생 당시보다 5배가량 높은 금액을 지급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다.

고팍스 채권단 관계자는 "보상 관련 사안은 시일이 많이 지난 만큼 (바이낸스와 고팍스의) 입장이 어떻게 변했는지 아직 확답을 듣지 못한 상태"라고 전했다.

 

 

(서울=뉴스1)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