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목표가 150만달러→120만달러…캐시 우드, 강세론 일부 수정

테이블코인 급성장, 비트코인 역할 일부 잠식

 

160.jpg

스테이블코인이 존재감을 드러내면서 비트코인의 입지가 좁아지고 있는 모양새다. /뉴시스

비트코인 낙관론자의 대표격인 캐시 우드 아크인베스트먼트(ARK Invest) 최고경영인(CEO)이 장기 가격 전망을 낮췄다. 스테이블코인 시장이 비트코인의 일부 역할을 대체하고 있다는 판단에서다.

우드 CEO는 6일(현지시간) CNBC 인터뷰를 통해 "과거에는 비트코인이 글로벌 결제와 가치 저장의 두 축을 모두 담당할 것이라 봤지만, 지금은 상황이 다르다"며 "스테이블코인이 그중 일부를 가져가고 있다"고 밝혔다. 그러면서 기존에 제시했던 '2030년 비트코인 150만달러(약 21억7000만원)' 전망치를 약 20% 줄인 120만달러(약 17억4000만원) 수준으로 수정했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신흥 시장에서 예상보다 훨씬 빠르게 확산하고 있으며, 인플레이션이 심한 국가들에서는 송금과 결제 수단으로 이미 자리 잡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이런 흐름을 감안하면 비트코인 강세 전망에서 30만달러 정도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스테이블코인은 미국 달러 등 실물자산 가치에 연동된 디지털 토큰으로, 이더리움·솔라나 같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발행된다. 초창기에는 암호화폐 거래 진입용으로 쓰였지만, 최근엔 통화 불안이 큰 신흥국에서 급여 지급이나 생활비 결제에도 활용되며 빠르게 대중화됐다.

그는 "스테이블코인은 단순한 가상화폐를 넘어 새로운 결제 인프라로 진화하고 있다"며 "미국의 주요 기관 투자자와 대기업들도 이에 주목하기 시작했다"고 말했다. 실제로 메타·아마존 같은 빅테크 기업뿐 아니라 글로벌 은행, 일부 주정부까지도 블록체인 기반 결제 속도를 높이기 위한 자체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검토 중이다.

한편, 비트코인 가격은 최근 조정을 거듭하고 있다. 최근에는 약 6개월 만에 10만달러 아래로 떨어졌다. 가상자산 시장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의 확산이 비트코인 수요에 단기적 부담을 줄 수 있지만, 동시에 제도권 결제 시스템과의 접점을 넓혀 암호화폐 전반의 신뢰를 높이는 긍정적 신호라는 평가도 나온다.

 

더팩트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