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어느새 확진자 2배 돌파 '조용한 유행'…"더 이상 청정 지역 아니다"

캐나다 누적 홍역 확진자 5000명 넘어
WHO 산하기관 "1년 이상 지속 전파 확인"
미주 지역 '홍역 청정' 지위도 해제

 

캐나다가 27년 만에 '홍역 퇴치국' 지위를 잃었다. 미접종자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감염이 이어지고 있는 영향인데, 올해 캐나다의 누적 홍역 확진자는 5000명을 넘어섰다.

 

1.jpg

홍역. 게티이미지뱅크


10일(현지시간) CNN은 "캐나다 공중보건국(PHAC)이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범미보건기구(PAHO)로부터 홍역 퇴치국 지위를 상실했다는 통보를 받았다"고 보도했다.

캐나다 보건당국에 따르면 현지에서는 지난해 10월 이후 홍역 확산세가 지속되고 있다. 캐나다 정부는 최근 확산세가 다소 둔화했다고 밝혔지만, 미접종자를 중심으로 여전히 감염 사례가 이어지고 있다. 지난달 기준 캐나다의 홍역 누적 확진자는 5000명으로, 지난 25년간 발생한 누적 확진자의 두 배를 웃도는 수치다.

PHAC는 "PAHO의 홍역·풍진 제거 재검증위원회(RVC)가 역학 및 실험실 자료를 검토한 결과, 동일한 홍역 바이러스 균주가 1년 이상 지속적으로 전파된 사실을 확인했다"고 밝혔다. RVC는 홍역 확산 상황을 분석하기 위해 설립된 범미보건기구 산하 독립 전문가 기구다. 이 단체는 이달 초 회의를 열어 캐나다의 지위에 대한 권고를 제시했으며, 최종 결정은 PAHO 사무국이 내렸다.

PHAC는 "현재 유행 중인 바이러스 전파가 최소 12개월 이상 중단될 경우 홍역 퇴치국 지위를 다시 회복할 수 있다"며 "국가 및 지역 보건당국과 협력해 확산 억제에 주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캐나다는 1998년 홍역 퇴치국이 됐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 백신 기피 현상이 확산되면서 예방률이 WHO 권장 기준인 95%를 밑돌고 있다.

자르바스 바르보사 PAHO 사무총장은 "이번 지위 상실은 후퇴이지만 되돌릴 수 있는 일"이라며 "미주 지역의 다른 34개 국가는 여전히 홍역 퇴치국 지위를 유지하고 있다"고 말했다.

캐나다의 지위가 변경되면서 미주 지역 전체의 '홍역 청정' 지위도 공식적으로 해제됐다. 바르보사 사무총장은 "전 세계적으로 홍역이 완전히 사라지지 않는 한 재유입 위험은 계속될 것"이라며 "감염자 한 명이 최대 18명에게 전파할 수 있을 정도로 홍역은 전염성이 높다"고 경고했다.

 

 아시아경제​​​​​​​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