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촌
바텐더 연봉, 변호사와 비슷…'최저임금 2만3900원'에 난리난 이 나라

18.jpg

영국 런던 거리의 모습. 사진은 기사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이미지로 기사의 내용과 직접적인 관련 없음./사진=게티이미지뱅크

 

영국이 최저임금 인상을 검토하는 가운데 '최저임금이 전문직 대졸자 초봉 수준을 따라잡는 역전 현상'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다.

3일(현지시간) 파이낸셜타임스(FT)에 따르면 레이철 리브스 영국 재무장관은 이달 가을 예산안을 공개하며 최저임금을 시간당 12.70파운드(약 2만3900원) 로 현재보다 4% 인상한다고 발표할 예정이다.

최저임금 인상이 확정되면 슈퍼마켓에서 주40시간 일하는 노동자는 연봉 2만6416파운드(약 4965만원) 를 받는다. 금융 등 영국 전문 서비스직의 대졸 초봉 하한선인 2만5726파운드를 소폭 넘어서는 수준이다.

최저임금이 전통적인 '화이트칼라'(전문 사무직) 대졸자 임금 수준에 하자 회계·법률· 금융 등 분야의 기업들은 당혹스러워하는 모습이다.

채용 대행사 패트릭 모건의 제임스 오다우드 최고경영자(CEO)는 최저임금에 맞춘 임금 인상 압력이 커지면 비용 절감을 위한 자동화와 해외 이전이 가속할 수 있다며 "전반적인 일자리 기회가 줄어들 것"이라고 우려했다.

소프트웨어 업체 리그비그룹의 스티브 리그비 CEO는 최저임금 인상이 '사회적 성과'라면서도 "현 고용 시장은 대졸자보다 비숙련 노동자에게 더 큰 보상을 주는 구조"라고 지적했다.

지난해 7월 14년 만에 재집권한 노동당 정부는 경제 활성화와 인플레이션(물가 상승) 대응을 이유로 최저임금 인상을 적극 추진해 왔다. 리브스 재무장관은 "일하는 사람들을 위한 진짜 생활임금 실현"을 재차 강조했다.

기업들은 반대 입장이다. FT는 고용주의 국민보험료 부담률 인상 등 증세와 신입 직원 권리 강화 정책이 최저임금 인상과 맞물리며 신규 채용이 '고위험 사업'이 돼 버렸다는 볼멘소리가 들린다고 전했다. 한 상장사 회장은 "최저임금이 더 오른다면 국민보험료 고용주 부담금 인상 등 기존 부담에 더해져 젊은 신입 직원 채용이 '고위험 사업'이 될 판"이라고 주장했다.

최저임금이 높아져 청년들이 학자금 대출을 감수하며 굳이 고학력을 취득할 유인이 사라지면 결국 '소득 격차'는 줄어도 '계층 격차'는 벌어질 거란 지적도 나온다. 한 금융기관 대표는 FT에 "이러면 누가 학자금 대출을 받아가며 (대학에 가) 공부를 하겠느냐"며 "이는 (계층 간) 사회적 이동을 해치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영국 일간 텔레그레프도 "학자금 대출 없이도 바에서 일하면서 같은 돈을 벌 수 있다면 왜 굳이 학자금 대출 수만 파운드를 받고 법조계나 금융계에 들어가 고된 노동을 하겠나?"고 반문했다.

브렛 딕슨 잉글랜드·웨일스법률협회 부회장은 "소규모 로펌의 신입 변호사가 최저 임금보다 조금 더 받는 수준이라면 법조계 진입에 흥미를 잃는 이들이 늘어날 것"이라고 꼬집었다.

 

 

머니투데이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