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기사 챙겨보는 MZ 늘어
주식 투자자 60%는 해외에

이미지=구글 제미나이
1억원 이상 자산을 보유한 ‘대중 부유층(Mass Affluent)’ 가운데 MZ세대(밀레니얼·Z세대, 1980~2000년대생) 비중이 빠르게 늘고 있다. 저축 위주였던 자산 운용도 투자 중심으로 옮겨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나금융경영연구소가 29일 발표한 ‘2026 대한민국 금융소비자 트렌드’ 보고서에 따르면, 1억원 이상 자산을 보유한 사람 중 MZ세대 비중은 2022년 19.8%에서 지난해 33.6%로 상승했다. 3명 중 1명이 MZ세대인 셈이다.
또 최근 3년간 저축보다 투자자산 비중이 빠르게 확대됐다. 저축자산 비중은 2023년 45.4%에서 올해 42.7%로 낮아진 반면, 투자자산 비중은 2023년 27.7%에서 지난해 31.1%, 올해 32.2%로 꾸준히 상승했다. 연구소는 MZ세대의 투자 참여가 본격화된 영향이라고 분석했다.

하나금융연구소 보고서 발췌
세대별로 보면 Z세대(1991년 이후 출생)의 금융자산 중 투자·가상자산 비중은 올해 26.3%로 전년보다 1.4%포인트 증가했다. 평균 예치액은 959만원이었다. 밀레니얼세대(1981~1990년생)는 투자자산 비중이 34.8%로 4.1%포인트 늘었고, 평균 예치액은 2991만원이었다. X세대(1971~1980년생)는 투자 비중이 33.1%로 1.7%포인트 상승했지만, BB세대(베이비붐)는 3.9%포인트 하락한 28%로 떨어졌다. BB세대의 평균 예치액은 4733만원이었다.
MZ세대의 금융 자신감도 커지고 있다. ‘경제·금융 관련 기사를 챙겨 본다’는 응답은 지난해 33.4%에서 올해 35.2%로 상승했다. 세대별로는 MZ세대가 4% 증가한 반면, BB세대는 3.3% 줄었다. ‘합리적 금융 의사결정을 내릴 역량이 있다’는 응답 역시 MZ세대에서 전년 대비 6.3%포인트 증가해 다른 세대 대비 두드러졌다.
향후 1년 내 가입 의향이 있는 금융상품으로는 저축상품이 43.8%에서 41.3%로 줄어든 반면, 투자상품은 38.1%에서 40.9%로 증가했다. 연구소는 “내년에는 부동산보다 주식시장을 긍정적으로 보는 시각이 많아 투자 중심의 자산운용 기조가 이어질 것”이라며 “주식 투자자 10명 중 6명이 해외주식을 거래하고 있으며, 해외주식 포트폴리오 비중은 지속적으로 확대되는 추세”라고 설명했다.
매일경제
매일경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