거래액 급감에도 비트코인·이더리움 소폭 반등…리플 XRP 약세, 도지·파이코인 상승

국내 가상자산 시장의 단기 변동성이 다시 확대됐다.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11월 16일 7시 기준 업비트·빗썸·코인원·코빗 등 국내 4대 거래소의 최근 24시간 거래대금은 2조 8,415억원으로 전일보다 3조 4,382억원 급감하며 54.8% 줄었다. 급격한 거래 위축은 미국 증시가 기술주 중심으로 혼조세를 보인 가운데 투자심리가 위축된 영향을 받은 것으로 분석된다. 미국 국채금리 변동성과 달러 강세 기조가 이어지면서 위험자산 선호도가 약화됐고, 이 여파가 코인 시장에도 반영된 것으로 보인다.

 

102.jpg

[그래프] 국내 코인거래소 하루거래액 추이

그러나 주요 종목별로는 온도차가 존재했다. 업비트 기준 거래액 상위 10종목을 보면 리플 XRP가 2,754억원 거래로 1위를 기록했지만 시세는 0.76% 내렸고, 비트코인은 2,540억원 거래되며 0.44% 올랐다. 이더리움도 1,625억원 거래되며 1.04% 반등했고, 도지코인은 2.92% 상승하며 견조한 흐름을 나타냈다. 이와 함께 라그랑주·그로스톨코인·파일코인 등 거래량이 많은 알트코인도 상승세를 보였고, 리스크와 테더는 약보합권에서 움직였다.

빗썸에서도 테더·리플 XRP·비트코인·이더리움·도지코인 등 주요 종목이 상위권을 형성했다. 특히 쑨·스타크넷·버추얼 프로토콜 등 알트코인의 비중이 커지며 투자자들의 단기 매매세가 강화된 흐름이 확인됐다.

 

103.jpg

[표] 업비트·빗썸 거래규모 상위 종목


시가총액 기준 글로벌 코인 시장에서는 비트코인·이더리움·테더·리플 XRP·비앤비·솔라나·유에스디코인 등이 상위권을 유지했다. 코인힐스에 따르면 최근 24시간 동안 비트코인 거래는 미국 달러가 88.59%를 차지해 압도적이었고, 이어 일본 엔·한국 원·유로 순으로 거래량이 많았다. 이는 글로벌 시장에서 달러 수요가 여전히 우세하다는 점을 보여주며, 단기 자금 흐름이 미국 거시환경 변화에 크게 좌우되고 있음을 시사한다.
업비트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11월 15일 기준 1억 4,424만원으로 전일 대비 0.44% 올랐다. 최근 50일 최저가였던 11월 14일 대비 0.4% 상승하며 저점 반등 흐름을 만들었다. 이더리움은 4,781,000원으로 1.12% 상승했고, 도지코인은 247원으로 2.92% 반등해 단기 매수세 유입이 두드러졌다.

 

104.jpg

[그래프] 비트코인-이더리움 시세 추이


반면 리플 XRP는 3,379원으로 0.94% 내렸다. 최근 50일 최저가 대비 2.1% 반등 폭을 유지하고 있으나 매수세는 제한적이다. 파이코인은 316.5원으로 0.75% 상승하며 약한 강세 흐름을 보였다.

 

105.jpg

[그래프] 도지코인-리플 XRP 시세 추이


최근 업비트 코인동향에 따르면 지난 1주간 리스크·유니스왑·라그랑주·그로스톨코인 등 거래대금이 늘어난 종목들의 상승률이 두드러졌다. 특히 리스크는 29%대 상승률을 보이며 단기 테마성 자금이 집중됐다. 이는 미국 증시 변동성 확대 속에서 투자자들이 대형 코인보다 고위험·고변동 알트코인에 단기 베팅을 확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따라서 투자자는 △미국 증시 흐름과 국채금리 변동에 따른 위험자산 심리 확인 △비트코인 주요 지지선(최근 50일 최저가 기준) 이탈 여부 점검 △도지코인·라그랑주 등 단기 급등 종목의 과열 위험 관리가 필요하다. 특히 거래량이 급감한 상황에서는 가격 변동 폭이 커질 수 있어 포지션 규모 축소와 분할 매매 전략이 요구된다.

[본 기사는 투자 권유 목적이 아닙니다. 기사 내용은 외신 혹은 증권사 견해를 종합한 것으로, 투자를 권유하기 위해 작성된 내용은 아닙니다. 이 기사 내용에 전적으로 의존해 투자 결정을 하지 않기를 바랍니다. 모든 투자는 개인의 판단에 따라 이루어지며, 이에 대한 최종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본지는 독자의 투자 결과에 대해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

톱스타뉴스

이 게시물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