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의 움직임에 전 세계 암호화폐 시장의 시선이 쏠리고 있다. 오는 11월 13일(현지시간), 리플(XRP) 보유자들에게는 ‘제도권 진입’을 가늠할 중대한 분수령이 될 전망이다. 이날은 미국 자산운용사 카나리아 캐피털(Canary Capital) 이 제출한 현물(Spot) XRP ETF 등록 서류의 자동 효력 전환 시점으로, 별도 승인 절차 없이 효력이 발생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다.
지난 9월 SEC는 암호화폐 현물 ETF 상장 절차를 간소화하는 개정 규칙을 승인했다. 이에 따라 제출 서류(S-1) 내 ‘지연항목’이 삭제된 경우, 일정 기간(20일) 경과 시 자동 효력이 발생하는 구조가 가능해졌다.
카나리아 캐피털은 최근 XRP 현물 ETF 관련 S-1 문서에서 해당 지연항목을 삭제해, 13일 자동 효력 전환이 가능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블룸버그·로이터 등 주요 외신은 “SEC가 추가 보류 조치를 취하지 않는다면, XRP는 비트코인·이더리움에 이어 세 번째 제도권 ETF 자산으로 등극할 수 있다”고 전했다
XRP는 한때 증권성 논란으로 미국 내 제도권 편입이 막혀 있었지만, 지난해 법원 판결에서 “증권으로 보기 어렵다”는 판단을 받으며 제도권 진입의 불씨를 되살렸다. 이번 ETF 절차가 무리 없이 진행되면, 미국 최초의 알트코인 기반 현물 ETF가 될 가능성이 크다.
폴 배런(Paul Barron) 애널리스트는 “XRP ETF 승인 여부는 가격 문제를 넘어 기관 자금이 합법적으로 유입될 수 있느냐의 관문”이라며 “비트코인 ETF가 유동성을 불러왔다면 XRP는 금융 인프라 확장의 신호탄이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시장 반응도 즉각적이다. 10월 말 글로벌 거래소 기준 XRP 가격은 약 15% 상승하며 기대감을 선반영했다. 다만, 전문가들은 “단기 시세보다 상징적 의미에 주목해야 한다”고 강조한다. 암호화폐 전문매체 더 크립토베이직(The Crypto Basic) 은 “ETF는 단순한 상품이 아니라 제도권의 신뢰 도장”이라며 “XRP ETF는 향후 스테이블코인·디파이(DeFi)·블록체인 결제산업으로 연결될 수 있다”고 평가했다.
XRP ETF가 승인되면, 미국뿐 아니라 유럽·아시아 시장에서도 유사 상품이 속속 등장할 가능성이 높다. 영국·두바이·싱가포르 등은 이미 XRP를 ‘비증권형 디지털자산’으로 분류해 제도권 거래를 허용한 상태다.
반면 SEC가 중간에 코멘트를 제시하거나 보완 요구를 내놓을 경우, 자동 효력은 지연될 수 있다는 관측도 존재한다. 또한, 미 연준의 금리정책 및 글로벌 달러 유동성 흐름이 ETF 자금 유입 속도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도 지적된다.
결국 11월 13일은 단 하루의 일정이지만, 암호화폐 시장 제도화의 방향을 결정할 리트머스 시험대가 될 전망이다. ETF가 실제 효력을 발휘한다면 XRP는 ‘규제 논란의 상징’에서 ‘제도권 혁신의 아이콘’으로 탈바꿈할 수 있다.
비트코인 ETF가 암호화폐 시장의 ‘유입의 문’을 열었다면, XRP ETF는 ‘비트코인 이후의 시대’를 여는 첫 실험이 될 것이다.
포인트데일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