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붉은 말' 충격" "화장도 예술"… 이효리 메이크업 예능, '흑백요리사' 뛰어넘을까

다크게임 2025.10.18 18:34:27

쿠팡플레이 '저스트 메이크업'

 

5.jpg

쿠팡플레이 메이크업 서바이벌 시리즈 '저스트 메이크업'의 2라운드 대결 중 '글램 그런지'를 주제로 메이크업 아티스트 '퍼스트맨'(왼쪽)과 '성수동 프린스'가 만든 결과물. 메이크업 모델은 보이그룹 보이프렌드의 쌍둥이 형제 영민(왼쪽), 광민. 쿠팡플레이 캡처

3일 공개된 쿠팡플레이 시리즈 ‘저스트 메이크업’은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유명 메이크업 아티스트가 겨루는 서바이벌 프로그램이다. 메이크업 서바이벌로는 국내에서 처음이다. 총 10화 중 17일 6화까지 공개됐다. 가수 이효리가 진행하는 이 프로그램에선 업계 최고의 실력을 자랑하는 메이크업 아티스트부터 최근 유튜브 등을 통해 인기를 얻은 크리에이터, 특수분장 아티스트, 드랙(여장) 전문가까지 60인이 모여 경연을 펼친다. 국내 1세대 메이크업 아티스트로 꼽히는 정샘물, 유명 K팝 걸그룹들의 메이크업으로 유명한 서옥, 뷰티 크리에이터 이사배, 아모레퍼시픽 소속 메이크업 아티스트 이진수가 심사위원으로 참여한다.

제작은 콘텐츠 제작사 SLL 산하의 스튜디오 슬램이 맡았다. 윤현준 슬램 대표는 넷플릭스 요리 서바이벌 시리즈 ‘흑백요리사: 요리 계급 전쟁’을 기획했다. 메이크업 서바이벌이라는 낯선 소재가 주는 신선함도 있지만, ‘흑백요리사’와 유사한 포맷이 식상하다는 반응도 있다. 시청자 반응은 긍정적이다. 16일 쿠팡플레이에 따르면 공개 첫 주 대비 시청 횟수가 6배 이상 늘며 플랫폼 내 인기 순위 1위에 올랐다. 공개 시점상 5회까지 내용을 중심으로 본보 문화부 기자들이 대화를 나눴다.

 

6.jpg

쿠팡플레이 메이크업 서바이벌 시리즈 '저스트 메이크업'의 2라운드 대결로 메이크업 아티스트 '파리 금손'과 '글리터 마술사'가 '붉은 말'을 주제로 맞붙었다. 쿠팡플레이 캡처

강유빈 기자(강) : ‘뷰티’ 그 자체보다 ‘자기 표현’과 ‘다양성’에 초점을 맞춘 프로그램이라는 생각이 들었다. 참가자들의 세대와 전문 분야, 출신이 다양한 만큼 개성도 뚜렷해 예상을 뛰어 넘는 결과물이 곳곳에서 튀어나와 보는 맛이 있었다. 참가자 ‘파리 금손’(김민)이 가느다란 섬유를 가루처럼 갈고, 얼굴에 뿌려 완성한 ‘붉은 말’ 메이크업이 특히 충격적이었다.

고경석 기자(고) : 평소 메이크업에 전혀 관심이 없다 보니 낯선 분야의 전문가들이 벌이는 경연이 흥미로웠는데 같은 이유로 계속 관심을 갖긴 어려웠다. 그래도 ‘파리 금손’의 붉은 말 메이크업처럼 일부 경연 장면은 그간의 선입견을 깰 만큼 흥미로웠다.

인현우 기자(인) : 제작사의 전작인 ‘흑백요리사’를 계속 떠올리면서 볼 수밖에 없었다. 5화까지는 출연자 간 신경전이나 돌발상황 같은 것도 거의 없었는데 이후 시청자들이 내심 기대하는 분란(?)이 나올 수도 있을 듯하다.

: 메이크업을 소재로, 이렇게 대규모로 경쟁을 시킨다는 것 자체가 차별화되는 콘셉트이긴 하다. 서바이벌 프로그램은 공정성 확보가 관건인데 30명의 쌍둥이 모델을 섭외하는 등 최대한 비슷한 환경을 제공하려 세심하게 신경 쓴 티가 났다. 아직은 ‘악마의 편집’이나 악당 캐릭터가 없어서 보기 편하기도 했지만 서바이벌치고 좀 슴슴한 맛인 것도 사실이다. 구성상 ‘흑백요리사’의 축소판 같은 인상을 지울 수 없었는데, 몇 가지 설정이나 아이디어만 따 와서 아예 새로운 느낌으로 변주했다면 어땠을까 싶다.

 

7.png

쿠팡플레이의 메이크업 서바이벌 시리즈 '저스트 메이크업'의 네 심사위원 정생물(왼쪽부터) 서옥 이사배 이진수. 쿠팡플레이 제공

: 첫 라운드에서 자기 장기를 보여주고 2라운드에서 동일 주제로 1대1 대결하는 것까지 ‘흑백요리사’와 형식이 꼭 닮았다. ‘흑백요리사’가 너무 성공하다 보니 비슷하게 따라갔겠구나 싶었다.

형식적으로는 경연 구성이나 심사 방식, 편집 등이 ‘흑백요리사’와 비슷해 그만큼의 참신함은 없었다. 제작사 고유의 형식이라 할 수도 있지만 ‘흑백요리사’의 ‘흑백’ 대결 구도처럼 ‘킥’이 될 만한 새로운 요소가 하나 정도 있었으면 싶었다.

: ‘흑백’ 대결 구도가 없다 보니 청담동 숍이든 메이크업 브랜드 소속이든, 인플루언서나 드랙 아티스트든 서로 잘 알고 존중하는 분위기가 강했다. 2라운드는 ‘흑백요리사’와 비교하면 대결의 맛이 떨어지는데, 어느 순간 ‘출연진이 이전 라운드에 뭘 했더라?’ 하고 기억이 잘 안 나면서 집중이 안 됐다. 유난히 기억에 남는 대결로는 드랙(‘맥티스트’ 이성욱 대 ‘뷰튜브 고인물’ 씬님)과 바비(‘예슬의 전당’ 박선미 대 ‘숏폼대왕’ 시네) 메이크업이었는데 둘 다 인플루언서 대 전문 메이크업 아티스트, ‘흑백’ 구도였다는 공통점이 있다. 심사위원이 4명으로 늘어서 시청자에게 설득력을 높이긴 했으나 결정권이 분산되다 보니 긴장의 강도는 덜했다.

: 메이크업의 예술적인 측면을 잘 보여줘서 흥미로운 측면도 있었다. 내가 합격이라 생각한 참가자가 떨어지고 탈락할 것 같던 참가자가 붙는 경우가 많았다. ‘좋은 메이크업’이 무엇인가를 생각해본 건 태어나서 처음인데 그런 점에서 메이크업이 새롭게 보였다.

: 시청 전엔 누가 가장 예쁘고 멋있는 화장을 완성하는지를 겨루는 거라고 생각했다. 미션과 결과물이 한정적이고 단조로울 거라 예상했는데 보고 나서 생각이 바뀌었다. 패션쇼나 화보, 유명인 담당 메이크업 아티스트와 웨딩 전문, 브랜드 전문 외에도 방송 분장, 무대 분장, 특수분장, 드랙, 틱토커까지, 이렇게 분야와 장르가 세분화되는지 처음 알았다. 그간 몰랐던 K뷰티의 ‘다양성’을 보여준 것 같다. 외국 소비자들이 열광하는 K뷰티의 특징이 깨끗한 피부 표현, 자연스러운 아름다움일 텐데 그 정수가 가장 잘 드러났던 대결은 ‘내추럴 메이크업’ 미션이었다. 얼핏 보면 ‘메이크업 한 것 맞아’ 싶을 수 있지만 굉장히 섬세한 과정이 체계적으로 쌓인 결과물이더라. 장인 정신이 느껴졌다.

 

8.png

쿠팡플레이의 메이크업 서바이벌 시리즈 '저스트 메이크업'의 사회자 이효리. 쿠팡플레이 제공

: 종종 K뷰티라는 표현이 화장품 상품이나 의료관광으로 연결되곤 하는데, 결국 메이크업을 만드는 것은 사람의 손이고, 아름다움을 느끼는 것은 눈이라는 점을 인식시키는 효과가 있었다고 생각된다. 더불어 당대에 유행하던 메이크업의 시대적 흐름이 존재했고, 앞으로 또 어떻게 변할지를 상상해 보는 기회도 됐다. 메이크업이란 것이 화장품의 품질이나 화장술 외에도 화장을 하는 사람의 얼굴이나 테마에 대한 연구 등 상당히 많은 부분들이 고려되는 종합예술적 요소가 있다는 점을 느꼈다.

 

 한국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