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고물가 때문에 지지율이 추락하는 등 정치적 압박을 받는 가운데 브라질 주요 농산물에 대해 자신이 부과한 40%의 추가 관세를 무효화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20일(현지시간) 브라질의 특정 농산물에 대한 40% 추가 관세를 미동부시간 지난 13일 0시1분부로 면제(소급 적용)한다고 백악관이 공개한 '브라질 정부에 대한 관세 적용범위 수정' 행정명령을 통해 결정했다.
이로써 브라질산 수십가지 농산물에 대한 미국의 관세율은 0%가 됐다. 트럼프 대통령이 지난 14일 이들 농산물을 국가별 관세에서 면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해 브라질 주요 농산물에 부과되고 있던 기본관세 10%는 이미 사라져서다.
미국은 브라질산 수입품에 대해 그간 기본관세 10%에 추가관세 40% 등 50%의 관세가 적용됐다. 지난 7월 30일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과 친분이 있는 자이르 보우소나루 전 브라질 대통령이 자국에서 정치적 탄압을 받고 있다고 주장하며 40% 관세 추가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루이스 이나시우 룰라 다시우바 대통령과 통화해 관세 협상 개시에 합의했고, 미 당국자들이 브라질과의 초기 협상에서 진전이 이뤄지는 등 여러 사항을 감안해 브라질산 농산물 관세를 완화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진짜 이유는 고물가 때문이라는 분석이 많다.
로이터 통신은 "이번 조치는 백악관이 미국 내 식품 가격 상승을 초래한 일부 관세에 입장을 번복하면서 지난 14일 여러 농산물에 대한 관세를 철폐한 유사한 행정명령에 이어진 것"이라고 짚었다.
AFP 통신도 "이런 변화는 트럼프 대통령이 생활 물가 상승으로 어려워진 미국 유권자들로부터 압박을 받는 가운데 나왔다"고 했다. 블룸버그 통신도 "생활 물가에 대한 유권자 불만이 커지는 가운데 관세 감면 범위를 넓혔다"고 전했다.
한국경제TV