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일 오후 서울 강남구 업비트 고객센터 전광판에 비트코인 등 가상화폐 거래 가격이 표시되고 있다. 비트코인은 하락을 거듭하며 7개월 만에 9만 달러 선이 붕괴됐다. 이한결 기자 [email protected]
비트코인, 금, 주식 등 주요 자산의 가격이 오르는 이른바 ‘에브리싱 랠리’가 흔들리고 있다. 다음 달 미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금리 인하 가능성이 낮아진 데다 인공지능(AI) 거품론도 여전해 위험 회피 심리가 커진 것으로 풀이된다.
18일 가상자산 정보 플랫폼 코인마켓캡에 따르면 비트코인은 이날 장 중 한때 5% 넘게 급락하며 개당 8만9000달러대에 거래됐다. 지난달 6일 12만6000달러까지 치솟으며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지만 40여 일 만에 9만 달러 선이 무너진 것이다. 이는 관세 우려가 극에 달했던 올해 4월 이후 7개월 만이다. 비트코인은 올해 가격 상승분(약 33%)을 모두 반납했고, 10월 고점 대비로는 29% 하락했다. ‘부자 아빠 가난한 아빠’의 저자 로버트 기요사키가 올해 4월 ‘비트코인이 향후 10년 안에 100만 달러(약 14억7000만 원)에 도달할 것’이라고 예측한 말이 무색해졌다.
증시 그래프도 하향 곡선을 그렸다. 코스피는 이날 전 거래일 대비 3.32% 하락한 3,953.62에 거래를 마쳤다. 코스피는 3일 역대 최고점(4,221.87)을 찍은 뒤 외국인의 ‘팔자’ 행렬에 상승분을 반납하고 있다. 뉴욕증시에서는 17일(현지 시간)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500, 나스닥종합지수, 다우존스30산업평균지수가 각각 0.92%, 0.84%, 1.18% 하락했다.
금 현물도 전날 대비 1% 가까이 하락한 트로이온스(약 31.1g)당 4000달러 선에서 거래됐다. 역대 최고점이었던 지난달 20일 시세(4356.50달러) 대비 8% 넘게 하락했다.
동아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