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대출 증가폭 2조5000억원 뛰었는데, 주식 빚투 영향은 없다고?

다크게임 2025.11.13 13:25:14

금융 당국 “10월 가계대출 증가는 아파트 중도금 대출 탓”, ‘주식 빚투’ 언급 없어... 안이한 해석이라는 비판도


지난달 전 금융권 가계대출은 4조8000억원 증가해, 9월 증가세(1조1000억원)보다 3조7000억원이나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당국은 아파트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사업장이 증가한 데 따른 영향이라고 분석하지만, 금융권에서는 주식시장 활황에 올라탄 ‘빚투’(빚내서 주식투자)가 끼친 영향도 크다고 지적한다.

 

70.jpg

은행권 "3분기 가계대출 문턱 크게 높아질 것"


13일 금융당국이 발표한 ‘10월중 가계대출 동향’에 따르면 전 금융권의 가계대출은 정부의 연이은 부동산 규제 대책 탓에 주택담보대출의 증가폭은 전월(3조5000억원)보다 3000억원 줄어든 3조2000억원을 기록했다.

반면 나머지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등 신용대출을 포함한 기타대출이 1조6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전달인 9월에 기타대출이 2조4000억원 감소한 것과 비교하면 한달 사이 증가세가 4조원에 달하는 셈이다. 여기에는 전달 1조6000억원 감소했던 신용대출이 9000억원 증가로 돌아선 것이 큰 영향을 끼쳤다.

업권별로 보면 은행권의 경우 가계 대출은 3조5000억원 증가해 전월(1조9000억원) 대비 증가 폭이 확대됐는데, 은행 자체 주택담보대출(1조4000억원→1조1000억원)과 정책성 대출(1조원→9000억원)은 증가 폭이 전월 대비 축소됐다. 반면 기타 대출도 1조4000억원 상승해 전월 증가 폭(-5000억원)과 비교하면 1조9000억원이나 증가 폭이 커졌다.

저축은행과 상호금융 등 2금융권 가계 대출은 1조3000억원 증가하며, 8000억원 감소했던 전월에 비해 증가세로 전환됐다. 보험(-3000억원→1000억원)과 카드사 등 여신전문회사(-1조1000억원→2000억원) 모두 전월 대비 증가세로 돌아섰고, 농협·신협·새마을금고 등 상호금융권은 1조1000억원 증가해 전달(1조원)보다 증가 폭이 소폭 상승했다. 또한 저축은행의 가계 대출은 2000억원 감소하면서 전달(-5000억원)보다 감소 폭이 축소됐다.

이처럼 가계 대출 증가세가 커진 것에 대해 금융위원회는 이날 “10월 중 중도금 대출을 실행한 분양 사업장이 증가하면서 집단 대출이 일시적으로 증가했고, 장기 추석 연휴에 따른 자금 수요 등으로 신용 대출의 증가 폭이 확대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최근 주식시장을 겨냥한 빚투에 대한 언급은 없었다.

 

71.jpg

일러스트=김성규


이 때문에 금융 당국이 빚투에 대한 심각성을 애써 무시하거나 과소평가하는 게 아니냐는 지적도 제기된다. 실제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 등 5대 은행의 가계 신용 대출 잔액(마이너스통장 포함)은 10월 말 기준 약 104조7330억원으로 10월 한 달 동안 약 9251억원이 늘었다. 이 증가 폭은 2021년 7월 이후 약 4년 4개월 만에 최대 수준이다. 한 금융권 관계자는 “11월 들어서는 열흘 동안 1조원가량의 신용 대출 증가가 있었던 점을 고려하면 10월에도 빚투가 신용 대출 증가에 끼친 영향이 작다고 할 수 없다”고 말했다.

일각에서는 금융 당국이 빚투로 인한 영향을 애써 축소하고 있다는 분석도 있다. 실제 권대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이달 초 한 라디오 방송에 나와 빚투에 대해 “그동안은 나쁘게만 봤는데 레버리지의 일종으로 볼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그러자 이 발언이 주식 투자자에게 혼란을 가중시키고, 투자를 못 하고 있는 사람에게는 박탈감을 준다는 등의 비판이 쏟아졌고, 결국 권 부위원장은 사과했다.

 

72.jpg

(서울=뉴스1) 이승배 기자 = 권대영 금융위원회 부위원장이 11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제429회국회(정기회) 정무위원회 제8차 전체회의에 출석해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2025.11.11/뉴스1


이억원 금융위원장도 지난 12일 열린 기자 간담회에서 급증하는 신용 대출 규모에 대해 “전체적인 가계 부채 증가를 견인한다든지 건전성에 위협을 주는 정도는 아니다”라고 평가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마이너스통장을 중심으로 확대되는 신용 대출은 상당 부분 주식 투자에 활용된 것으로 봐야 한다”며 “이러다 주가가 떨어질 경우 큰 혼란이 있을 수 있으니 당국이 긴장을 늦춰선 안 된다”고 지적했다.

 

 

조선일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