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택사업자 경기전망 큰 폭 하락…10·15 부동산 대책 여파

다크게임 2025.11.13 13:13:30

65.jpg

11월 주택사업경기전망지수 [주택산업연구원 제공]

서울 전역과 경기도 12개 지역을 규제지역(조정대상지역·투기과열지구)과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묶은 10·15 부동산 대책 영향으로 주택사업자들의 경기 전망이 크게 어두워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주택산업연구원(주산연)은 주택사업자를 대상으로 설문한 결과 11월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가 전월 대비 20.7포인트 하락한 65.9로 조사됐다고 오늘(13일) 밝혔습니다.

주택사업경기 전망지수는 기준선인 100을 넘으면 경기를 낙관적으로 내다보는 업체 비율이 더 높음을 뜻합니다. 100을 밑돌면 그 반대입니다.

수도권 전체로는 전월 대비 31.0포인트 하락한 64.1을 기록했습니다. 서울은 35.1포인트 하락해 71.7로 떨어졌고 경기(62.8)는 32.0포인트, 인천(57.6)은 26.2포인트 각각 하락 전망됐습니다.

10·15 대책 이후 규제지역 확대에 따른 대출규제 강화가 시행돼 수도권 전반의 매수심리 위축으로 이어지면서 주택사업자들의 심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 것으로 주산연은 분석했습니다.

비수도권은 18.5포인트 하락한 66.3으로 전망됐습니다.

광역시는 울산(76.9)이 28.6포인트, 대전(71.4) 21.9포인트, 부산(65.0) 20.7포인트, 세종(83.3) 16.7포인트, 대구(66.6)가 10.3포인트 각각 하락했고 도 지역은 강원(33.3)이 44.4포인트, 충북(62.5) 27.5포인트, 전북(66.6)은 25.0포인트 내리는 등 전 지역 지수가 하락 전망됐습니다.

다만 지방은 10·15 대책 영향권이 아니어서 부산, 울산 등 주요 광역시를 중심으로 회복 조짐이 일부 포착되는 등 수도권 규제 강화에 따른 반사이익이 감지된다고 주산연은 덧붙였습니다.

전국 자금조달지수는 73.4로 전월 대비 13.1포인트 하락했습니다.

규제지역 확대 지정으로 조합원 지위양도 제한, 분양 재당첨 제한 등이 적용돼 정비사업 추진이 지연되고 수도권 청약시장도 강화된 대출규제로 위축되는 등 불확실성이 커지는 영향으로 분석됐습니다.

 

연합뉴스TV